본문 바로가기
잡담

포스팅 하나 읽고 쉽게 시작하는 마작 (온라인 리치 마작)

by zip_going 2025. 1. 3.

 
 

 비행기에서 <Crazy Rich Asians> 영화를 보고 뜬금 없이 마작에 꽂혔다.
주인공 레이첼이 슈퍼리치 가문 남주의 엄마와의 대결에서 멋지게 승리하는 장면이었다.
 

(예비) 시어머니 제 공격을 받으세요 얍!

 
 

 하지만 나는 마작패도 없고, 오프라인으로 점수 계산을 할 자신도 없어서
어쩌다 보니 일본식 온라인 마작 게임인 '작혼'으로 마작을 처음 접하게 되었다.  
 
게임 튜토리얼로는 마작 규칙이 잘 이해가 안되서 여기저기 검색을 해봤는데
슌쯔, 커쯔니 치, 퐁, 깡이니 낯선 게임 용어도 어려웠고 점수를 얻을 수 있는 방법(역)도 너무 다양했다.
마냥 화투같은 그림 맞추기 인 줄 알았다가 방대한 정보량에 뒷걸음치게 되는데...
 
하지만 오프라인 마작을 하거나, 마작 고수가 되고 싶은 게 아니라면
정말 간단한 몇 가지 배경지식과 게임 시스템의 도움으로 리치 마작을 시작할 수 있다.
 
 
 
 

1. 미리 알아두기

 
ㅇ 이 글은 마작을 찍먹 해보려는 왕초보를 위해 또 다른 왕초보가  최대한 마작 용어를 쓰지 않고 작성했다.
ㅇ '작혼: 리치 마작'은 웹(https://mahjongsoul.yo-star.com/kr/)과 모바일에서 플레이 할 수 있다. 
ㅇ '작혼: 리치 마작'은 사행성 문제로 18세 이상 등급을 받은 게임이다.(플레이 무료, 캐릭터 등 뽑기는 유료) 
 

서브컬쳐풍 그림체 때문에 진입장벽(?)이 느껴질 수 있다

 
 
 

2. 최소한의 마작 규칙(4인 마작)

 
ㅇ 4인 마작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.
   - 4명이서 각각 패 13장 씩 나누어 갖는다.
   - 먼저 시작하는 사람(선)이 남은 패 더미에서 패를 1장 뽑고, 패 14장 중 필요없는 1장을 버린다.
   - 시계 반대방향 순으로 돌아가며 이를 반복하다가 패 더미를 다 쓰거나, 승자가 나온 경우 게임이 끝난다.
 
 
ㅇ 그렇다면 어떻게 승자가 될 수 있을까?
   - 우선 패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.
   - 1~9까지의 숫자가 적힌 만수패, 통수패, 삭수패가 있고 숫자 없이 한자가 적힌 풍패와 삼원패가 있다. 
   - 이 패들은 마치 트럼프 카드처럼, 똑같은 모양이 각각 4장씩 있다.
 

마작패의 종류

 
   - 패 14개로 '용(dragon)'을 만들면 승리한다. 용은 머리 하나, 몸통 네 개로 이루어진다.
   - 머리 : 똑같은 모양의 패 2장으로 만든다
   - 몸통 : 똑같은 모양의 패 3장이나, 1~9까지의 숫자가 적힌 패들 중 연속하는 3장으로 만든다.

용 만들기 예시

 
   - 위 예시를 보면 패 더미에서 뽑은 만수패 7만(七萬, 맨 오른쪽)까지해서 총 14장의 패로 용을 완성시켰다.
   - 머리(만수패 7만, 7만) 몸통(풍패 남남남/ 만수패 6만, 6만, 6만/ 만수패 5만, 5만, 5만/ 삭수패 2, 3, 4)
   - 용을 구성하는 패의 종류에 따라 용의 이름과 얻을 수 있는 점수가 달라지는데 지금 알 필요는 없다.
 
 
ㅇ 패 더미에서 뽑아서 용을 만들기 어려워 보이는데...
   - 맞다. 순전히 내가 뽑은 패로 용을 만들기는 어렵다. 그래서 다른 사람이 버린 패를 주울 때도 있다.
   - (방법 1) 내 직전 순서에서 버린 패 1장을 주워서 연속된 숫자 3장를 만들 수 있다. 

내 손에 삭수패 2, 4가 있고
직전이 3을 버림

 
     - (방법 2) 다른 사람들이 가장 최근에 버린 패 1장을 주워서 똑같은 모양 3장을 만들 수 있다. 
     - 방법 1과 다르게 꼭 내 직전 순서에서 버린 패가 아니어도 주울 수 있다.
     - 플레이 순서가 패를 버린 사람에서 부터 그 패를 주운 사람으로 건너 뛰어진다.

내 손에 6만이 2장 있고
남이 6만을 버림

 


     - (방법 3) 내 손에 똑같은 모양 4장이 있거나, 다른 사람들이 가장 최근에 버린 패 1장을 주워서 똑같은 모양 4장을 만들 수 있다.
     - 방법 1과 다르게 꼭 내 직전 순서에서 버린 패가 아니어도 주울 수 있다.
     - 플레이 순서가 패를 버린 사람에서 부터 그 패를 주운 사람으로 건너 뛰어진다.
     - 3장이 아닌 4장으로 몸통 하나를 만들었기 때문에 패 더미에서 패를 1장 더 뽑아야 한다.
     - 때문에 용을 만드는데 14장 보다 더 많은 패를 사용할 수 있다.

똑같은 모양 4장으로 용 몸통 하나 만들기

 
 
ㅇ 와 완전 편한데 무조건 남이 버린 패를 가져와야겠다! But...
   - 마작 고수(?)분들은 초보자가 위와 같은 방법으로 용을 완성하는 걸 별로 추천하지 않는다.
   - 이 방법을 쓰면 특정 모양의 용을 완성해야만 승리할 수 있는 아주 고약한 핸디캡이 생기기 때문이다.
   - 이 용 모양을 외우는 게 너무너무너무 어렵다.
   - 하지만 온라인 마작은 도움말 기능이 있으니까 너무 걱정말고 버린 패도 주워서 이겨보자.

게임은 이겨야 재밌으니까

 
 
ㅇ 그나저나 패 더미를 다 쓸 동안 아무도 승리하지 못하면?
   - 비겨서 아무도 점수를 얻지 못한 채로 게임 한 판이 끝난다.
   - 하지만 딱 맞는 패 1장만 있으면 용을 완성할 수 있었던 사람은 점수를 약간 얻는다.
 
 
 

3.  마작 시작하기

 
ㅇ 그렇다면 곧바로 마작을 시작해보자.
   - '작혼 : 리치마작' 웹(https://mahjongsoul.yo-star.com/kr/)에 접속하거나 앱을 설치한다.
   - 이 글을 읽고 튜토리얼을 한다면 대충 어떻게 게임을 하는지는 감이 올 것이다.
   -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사람이랑 마작하긴 좀 무서우니까 AI와 연습해보자.
   - 홈 화면에서 친선전을 선택한다.

 

   - 방 만들기를 선택한다.

 
   - 대국 수를 'AI전'으로 설정한다.
   - 장고 시간을 '60+0초' 이상으로 설정한다. 초보자는 패 읽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.  

 
   - 게임 시스템이 이끄는 대로 플레이 하며 용 한마리를 만들어보자. 
 
 
ㅇ 도움말 기능 활용하기
   - 게임을 진행하다가 느낌표 모양 도움말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. 용 완성이 가까워졌다는 뜻이다.

 
   - 지금 내 상태에서 삭수패 2를 버리고 나면 통수패 9 1장 또는 풍패 서(西) 1장이 더 필요하다고 한다.
   - 하지만 나는 통수패 9 1장을 얻어 용을 완성하는 경우에도 승리할 수 없다.(역 없음) 아주 고약한 핸디캡..
   - 사실 용 몸통을 만들 때 남이 버린 패를 주워왔기 때문이다.
   - 따라서 풍패 서(西) 1장을 더 얻어야 하고 얻을 수 있는 풍패 서는 총 2장 남아 있다.  
 
   - 운 좋게 그 다음 차례에 통수패 9로 용 몸통을 하나 더 만들었다.
   - 그리고 삭수패 9를 한 장 버렸더니 패 딱 1장만 있으면 승리하게 되는 텐파이 상태가 되었다.
   - 텐파이 중 하나인 후리텐은 내가 버렸거나 남들한테서 가져올 수 있었던 패만 있으면 이길 수 있는 상태다.
   - 후리텐 상태에서는 비기더라도 다른 사람으로부터 점수를 얻을 수 있다. 

 
 

   - 다음 차례에 패를 뽑았는데 바로 풍패 서(西)가 나와 주어 게임에서 승리했다.
   - '쯔모'란 내가 뽑은 패로 승리하는 것이고, '론'은 남이 직전에 버린 패로 승리하는 것이다.

 

   - 최종적으로 머리(삭수패 9, 9몸통(풍패 서서서/ 삭수패 7, 8, 9/ 통수패 3, 3, 3/ 통수패 9, 9, 9)을 만들었다.
   - 남이 버린 패로 만들 수 있는 용 모양 중 난이도가 낮은 '장풍패'이다. 난이도가 낮은 만큼 점수도 낮다.

 
 
 

4.  마작 고수가 되고 싶다면

 
ㅇ 마작 용어를 배운다.
ㅇ 패를 나누고 정리하는 등 오프라인 마작 하는 법을 배운다.
ㅇ 모든 종류의 역을 배운다.
ㅇ 점수 계산하는 방법을 배운다.
ㅇ 특수한 상황에서 적용되는 규칙을 배운다.
 
 위와 같은 마작 규칙을 자세하게 알려주는 양질의 블로그 글들이 많다.
마작 용어와 플레이에 익숙해지고 대체 내가 어떻게 승리한 건지 궁금해질 때 즈음
제대로 각 잡고 마작을 공부해보는 건 어떨까?  
 
끝.



* 25.1.5. 수정 : 용 만들 때 쓰는 패 총 수(13 -> 14), 용 몸통 개수(3 -> 4), 후리텐의 정의


'잡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Zapier로 코딩 없이 자동화하기  (3) 2024.11.25